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니터 응답시간, 잔상 없이 게임 즐기는 비법!

by 하루팁박스 2024. 12. 28.

화면 속도가 답답해서 게임할 맛 안 나시죠?

혹시 모니터의 주사율은 높은데, 게임

화면이 잔상처럼 흐릿하게 보인 적은

없으신가요? 그럴 땐 바로 '모니터 응답

시간'을 확인해야 할 때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의 게이밍 실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니터 응답 시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모니터를 고를 때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들을 공유

하겠습니다. 게임의 승패를 좌우하는

찰나의 순간, 혹시 흐릿한 잔상 때문에

놓치고 있진 않은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픽셀이 춤을 춘다! 모니터 응답

시간이란 무엇일까요?

 

모니터 응답 시간이란 모니터의 픽셀이

한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단위는 밀리

초(ms)를 사용하며, 숫자가 작을수록

빠른 응답 속도를 의미합니다. 1ms,

5ms처럼 표기된 것을 볼 수 있죠.

응답 시간이 짧을수록 움직임이 많은

영상이나 게임에서 잔상(모션 블러,

고스팅)이 줄어들어 더욱 선명하고

부드러운 화면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응답 시간", "픽셀 응답

시간" 또는 "GtG/그레이 투 그레이 응답

시간"으로 표기됩니다.

 


잔상 없는 부드러운 화면! 응답

시간이 중요한 이유

 

게임을 할 때 응답 시간은 매우 중요

합니다. 특히 빠른 움직임이 많은 FPS

게임이나 레이싱 게임에서는 더욱 그렇

습니다. 응답 시간이 느리면 픽셀이

색상을 바꾸는 속도가 느려 잔상이

남거나 화면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

습니다. 이는 게임 몰입도를 저해하고

정확한 조준이나 빠른 판단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카운터

스트라이크 2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적을

조준할 때 잔상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면, 승패에 결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GtG? MPRT? 응답 시간 측정 방식,

제대로 알고 있나요?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에는

GtG(Grey to Grey)와 MPRT(Motion

Picture Response Time) 두 가지가

있습니다. GtG는 회색 음영 사이의

전환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CORSAIR XENEON

27QHD240 OLED처럼 0.03ms의 매우

빠른 GtG 응답 속도를 가진 모니터도

있습니다. 반면, MPRT는 움직이는

영상의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

인데, 측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GtG보다 신뢰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니터를 선택할 때는 GtG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사율과 응답 시간, 둘 다 중요

할까요?

 

주사율과 응답 시간은 모니터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두 가지 요소입니다.

주사율(Refresh Rate)은 모니터가 1초에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의 수를 의미

하며, Hz(헤르츠)로 표시됩니다. 응답

시간과 마찬가지로 숫자가 클수록 좋

습니다. LG디스플레이의 480Hz 게이밍

OLED처럼 높은 주사율을 지원하는

모니터는 1초에 훨씬 많은 이미지를

표시하여 부드러운 화면을 제공합니다.

주사율과 응답 시간은 서로 다른 개념

이지만, 고주사율 모니터일수록 빠른

응답 시간이 필요합니다. 둘 다 게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게이밍

모니터를 선택할 때는 높은 주사율과

낮은 응답 시간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나에게 맞는 응답 시간은? 게임,

영상 편집, 사무용 등 용도에 따른

선택 기준

 

모니터의 응답 시간 선택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게임을 하지 않고

웹 브라우징, 이메일, 문서 작업 등

일반적인 용도로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빠른 응답 속도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5ms 이상의 응답 시간을 가진 모니터

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게임, 특히

FPS나 레이싱 게임을 즐긴다면 1ms~4ms의

빠른 응답 시간을 가진 게이밍 모니터가

필수입니다. 영상 편집과 같이 움직임이

중요한 작업을 한다면 잔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낮은 응답 시간을 가진

모니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숨겨진 기능? 모니터 응답 시간


조절 옵션, 제대로 활용하고 있나요?

 

일부 모니터에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모니터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에서 '픽셀

응답', '응답 시간', 'Overdrive' 등의

설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모니터의 성능에 과부하를 걸어 응답

속도를 높이는 기능입니다. '보통',

'빠르게', '가장 빠르게'와 같은 단계별

설정이 있는 경우, '가장 빠르게'로

설정하면 응답 속도가 향상되지만,

역잔상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용도와 모니터의 특성에

맞춰 적절한 단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상 시청 시에는 '보통'

으로 설정하고, 게임을 할 때는 '빠르

게' 또는 '가장 빠르게'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가장

빠른 설정이 좋은 것은 아니라는 점

기억하세요.

 


한눈에 보기

정의 1초 동안 모니터가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 개수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이 교체되는 속도    
단위 Hz(헤르츠) ms(밀리초)
영향 수치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움직임  
구현 수치가 낮을수록 잔상감이 적은  
선명한 영상 제공    

항목 주사율 응답 속도

 


모니터 응답 시간 완전 정복! 이제

쾌적한 화면으로 게임을 즐겨보세요!

 

오늘 알아본 모니터 응답 시간, 어떠셨나

요? 모니터 응답 시간은 게임, 영상

편집, 디자인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게이밍

모니터를 선택할 때는 응답 시간과

주사율을 꼼꼼하게 비교하여 자신에게

딱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모니터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다른 유익한

정보를 담은 게시글도 많으니, 블로그

구독하고 더 많은 정보 얻어 가세요!

 

FAQ

Q1. 모니터 응답 시간 조절 옵션은

왜 필요한가요? A. 모니터의 응답 시간을

조절하여 사용 용도에 맞춰 최적의

화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게임을 할 때는 빠르게, 영상을

볼 때는 보통으로 설정하는 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Q2. GtG와 MPRT, 어떤 측정 방식이

더 신뢰할 수 있나요? A. GtG가 더

객관적인 측정 방식입니다. MPRT는 측정

기준이 모호하여 제조사마다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Q3. 응답 시간이 빠르면 무조건

좋은 건가요? A.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

니다. 응답 시간을 너무 빠르게 설정

하면 역잔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

므로, 적절한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